무로지 절
득도한 부처님
무로지 절은 여인이 절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었던 옛날부터 여성을 깊은 자비로 받아들여 왔습니다. 고야산은 철저한 여인 금제로 유명하지만 무로지 절은 「여인 고야」라고 불리며 사랑받아온 역사를 갖고 있는 절입니다.
무로 마을은 깊은 산속에 맑은 물이 흐르며 예로 부터 용신이 살고 있는 영지로서 소중히 여겨져 왔습니다. 금당의 본존은 매우 아름다운 모습이며 불교의 개조인 석가모니가 득도한 모습으로 민중을 구제하는 부처님으로서 두터운 신앙을 받고 있습니다.
경내 볼거리
-
국보
석가여래입상
석가여래입상국보
금당의 본존인 석가여래입상은 불교의 개조인 석가모니가 득도하고 민중을 구제하는 부처님이 된 모습입니다.
깊은 명상의 표정을 지은 무로지 절의 석가여래는 원래
약사여래상이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평안시대 초기에 건립되었으며 화려한 무늬가 그려진 광배도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목조 높이 234.8cm -
국보
금당
금당국보
금당안에는 석가여래입상, 십이신장입상 등이 안치되어 있습니다.
9 세기 중반쯤에 창건된 무로지 절에서 가장 오래 된 건물의 하나입니다. 에도시대 제 5 대 장군인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모친 게이쇼인이 불교를 깊이 신앙하여 무로지 절에 거액의 기부를 했습니다. 그 도움으로 금당의 대수리를 하게
되었습니다. -
국보
오층탑
오층탑국보
무로지 절의 오층탑은 우아한 모습으로 아주 인기가 있습니다. 야외에 세운 오층탑으로서는 일본 최소규모로 높이 약 16 m입니다.
1998년에 큰 태풍으로 쓰러진 나무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지만
그 뉴스를 접한 사람들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습니다.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불교 관계자뿐만 아니라
기독교 관계자한테서도 수리 자금으로 거액의 기부를
받았습니다.
아름답게 수리된 현재의 오층탑은 많은 사람의
애정을 받으면서 서 있습니다. -
寳物殿
寳物殿
寳物殿 (ほうもつでん)
堂内に安置されてきた国宝や指定の仏像は、修復を繰り返しながら外気の寒暖差と湿度変化に耐え、千年以上もちこたえてきました。しかし、地球温暖化は山内の環境にも影響を及ぼしています。次世代へ仏像を受け継いでいくことを考えると、堂内の環境改善が必要ですが、堂そのものが文化財指定のため新たに手を加えることができません。また、老朽化した寳蔵では什宝を湿気や虫喰いから守ることも困難です。そのため、文化財の保護と分散を目的とした寳物殿が建設されることとなり、令和2(2020)年3月に完成いたしました。
寳物殿が、室生の地で人々のために供養祈願されてきた仏像等、そして守られてきた寺宝等を次世代へ大切に受け継いでいくための礎となることを願っています。국보 (조각)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헤이안 시대 초기
국보 (조각) 국보 (조각)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초기
중요문화재 (조각) 목조 지장보살 입상 헤이안 시대 초기
중요문화재 (조각) 목조 십이신장 입상 가마쿠라 시대
(보물전에는 인(寅 호랑이), 묘(卯 토끼), 진(辰 용), 사(巳 뱀), 미(未 양), 유(酉 닭)신을 안치하고 있습니다.)
-
국보
간죠도 당/여의륜관음좌상
간죠도 당/여의륜관음좌상 / 여의륜관음좌상국보
간죠도 당/여의륜관음좌상
간죠도 당 가마쿠라 시대 국보 1308 년 건립
불교의 중요한 의식인 머리에 물을 붓는 간죠라는 의식을 하는 곳입니다.
여의륜관음좌상
여의륜관음좌상 목조 높이 78.7cm 평안시대 주요문화재
여성적이며 인자한 표정을 짓고 있는 여의륜관음은 일본 3대
여의륜관음중의 하나입니다. 여의주와 윤보를 들고 있으며 장수, 순산에 효험이 있다고 합니다. -
미륵당 /미륵보살입상
미륵당 /미륵보살입상
미륵당은 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건물이며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미륵보살입상 나라시대 중요문화재미륵보살입상
무로지 절에서 가장 오래 된 불상이며 머리가 크고 동자를 연상시키는 모습입니다.
본존의 협사인 석가여래입상은 예로부터 풍년, 순산,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지켜주는 부처님으로서 널리 신앙을 받고 있습니다. -
인왕문
인왕문국보
1965년에 재건되었으며 붉은 색과 푸른 색의 인왕상이 새롭고 주홍색이 산뜻한 문입니다.
이 문을 들어가면 작은 연못이 있으며
나무 위에 알을 낳는 희귀한 개구리가
서식하고 있습니다.4월,5월/석남화
3000그루의 석남화가 경내를 물들입니다.여름・
푸른 잎과 개구리가을・
단풍겨울・
정적에 쌓인 눈 경치 -
요로이자카 계단
요로이자카 계단
신록과 엷은 분홍색의 석남화로 꾸며진 요로이자카 계단.
자연석을 꼼꼼히 쌓은 돌계단의 모양이 마치 무사가 입은 갑옷의 모양같다고 해서 요로이자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
오쿠노인 미에도 당
오쿠노인 미에도 당
인왕문에서 오쿠노인까지의 700단의 계단을 올라가면
오쿠노인 미에도 당이 있습니다.
고보대사를 모시고 있으며 매월 21일에 문이
열려 배관할 수 있습니다.
중요문화재 가마쿠라 시대 후기 건립
문화재 소개
-
무로지 오층탑
- 구분
- 국보 (건조물))
- 연대
- 헤이안 시대 초기(800)
- 개요
- 지붕은 히와다부키(노송나무 껍질 지붕)입니다. 높이 16.1m이며 야외에 세워져 있는 오층탑으로서는 가장 작으며 무로지 절 안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헤이세이 10(1998)년 9월, 긴키 지방을 덮친 태풍 7호의 강풍으로 나무가 쓰러져서 심한 손상을 입었지만 약 2년이라는 단기간에 복원되었습니다.
-
무로지 금당
- 구분
- 국보 (건조물))
- 연대
- 헤이안 시대 초기(800)
- 개요
- 금당은 오층탑과 함께 무로지 절 초창기 때의 것으로 일컬어지고 헤이안 초기의 건립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정당 정면에 가케즈쿠리 양식으로 사면에 기둥을 세워 높은 마루를 만들고 그 위에 지은 1칸 너비 복도는 에도시대에 추가한 예당입니다. 이것이 없었던 때는 본당 안의 불상 모습을 밖에서도 배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요세무네즈쿠리 지붕(우진각 지붕)은 고케라부키 (널조각으로 인 지붕)입니다.
-
무로지 본당 (간죠도)
- 구분
- 국보 (건조물))
- 연대
- 가마쿠라 시대 전기 :엔쿄1년(1308년)
- 개요
- 사방이 5칸으로 된 이리모야즈쿠리 (팔작지붕)의 큰 본당이며 와요(일본 양식) 와 다이부쓰요(중국 양식)가 절충된 건축입니다. 이 건물은 가마쿠라 전기 때 기법이 가장 발전한 시기의 것으로 세부 기법이 정교하게 도입되어 있습니다.
-
목조 석가여래 입상
- 구분
- 국보(조각)
- 연대
- 헤이안 시대 초기
- 개요
- 높이 234.8cm. 금당의 본존.
원래는 약사여래로 건립된 것입니다. 특히 주홍색의 흐르는 듯한 옷 주름은 렌파식(漣波式)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것으로써 큰 물결 무늬 사이에 2개의 작은 물결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 양식을 무로지요(무로지 양식)라고도 불립니다.
-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 구분
- 국보(조각)
- 연대
- 헤이안 시대 초기
- 개요
- 높이 196.2 cm. 비자나무 이치보쿠즈쿠리 (일목 조각).
채색 불상으로 머리 위의 화불(부처의 화신)까지 꼼꼼하게 조각한 기술은 볼 만합니다. 야에 연화좌라고 불리는 아름다운 대좌는 후세 때에 보충한 부분은 있지만 헤이안 시대 전기 양식을 잘 전하고 있습니다.
-
목조 석가여래 좌상
- 구분
- 국보(조각)
- 연대
- 헤이안 시대
- 개요
- 높이 106.3cm. 비자나무 이치보쿠즈쿠리 (일목 조각).
든직하고 안정된 모습에 균형 잡힌 온화한 표정이 아름다우며 계곡의 맑은 물을 연상시키는 혼파식(翻波式) 물결 무늬가 뚜렷합니다. 큰 옷 주름과 작은 옷 주름이 번갈아 반복되면서 뒤집히는 파도를 표현하고 있어 혼파식이라고 불립니다.
-
이타에(판자 그림) 채색 전 제석천 만다라도 [금당 내영벽]
- 구분
- 국보 (회화)
- 연대
- 헤이안 시대
- 개요
- 세로 351cm, 가로 192cm.
금당 안에 있는 수미단 뒤쪽 벽 3칸 가운데에 세로로 긴 노송나무 판자 5개를 잇대어 붙여서 그린 채색화입니다. 제작은 9세기 중반쯤으로 보이며 드문 벽화 유품으로 귀중한 것입니다.
-
무로지 미에도
- 구분
- 중요문화재(건조물)
- 연대
- 가마쿠라 시대
- 개요
- 오쿠노인에 있는 고보 다이시 구카이 상을 모시는 미에도(어영당)는 다이시도(대사당)라고도 하며 호교즈쿠리(사각뿔 모양 지붕)라고 하는 이층 널 지붕 건물입니다. 지붕 위에 장식된 노반 보주는 뛰어난 공예품입니다. 전국에 있는 다이시도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입니다.
-
무로지 미륵당
- 구분
- 중요문화재(건조물)
- 연대
- 가마쿠라 시대
- 개요
- 금당 앞뜰의 왼쪽(서쪽)에 있는 3칸 사방의 당입니다. 가마쿠라 시대 전기쯤에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원래는 남향이었던 것을 무로마치 시대에 동향으로 바뀌었으며 에도 시대 초기에도 개조되었습니다.
-
목조 여의륜관음 보살상
- 구분
- 중요문화재(조각)
- 연대
- 헤이안 시대
- 개요
- 무로지 절의 본존. 비자나무 일목 조각.
머리를 똑바로 세워 정면을 보는 모습은 같은 종류의 불상 중에서 오래된 것으로 보이며 당당한 체구는 헤이안 시대의 일목 조각상다운 중후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목조 미륵보살 입상
- 구분
- 중요문화재(조각)
- 연대
- 헤이안 시대
- 개요
- 미륵당 본존. 높이 94.4cm. 비자나무 일목 조각.
가슴에서 허리에 이르는 아름다운 영락이 극명하게 새겨진 단상입니다.
단상이란 백단 등의 향나무로 불상을 새긴 것을 말하는데 단목이 풍부하지 않은 일본에서는 결이 곱고 질이 좋은 나무로 조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목조 약사여래 입상 (전 구카이 작)
목조 문수보살 입상 (전 구카이 작)- 구분
- 중요문화재(조각)
- 연대
- 헤이안 시대
- 개요
- 금당 본존 양측에 안치되어 있는 두 구입니다. 둘 다 10세기쯤의 일목 조각상이며 크기와 작풍에 차이가 있어 에도 시대 중기에 다른 당에서 옮겨온 것으로 생각됩니다.
-
목조 지장보살 입상
- 구분
- 중요문화재(조각)
- 연대
- 헤이안 시대 초기
- 개요
- 높이 160.0cm. 노송나무 일목 조각 채색상.
판자 광배는 불상에 맞지 않는 크기이므로 이 불상의 광배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이 광배에 맞는 것은 무로지 절에서 약 9km쯤 떨어진 곳에 있는 안잔지 절의 지장보살 상이라고 전해집니다.
-
목조 십이신장 입상
- 구분
- 중요문화재(조각)
- 연대
- 가마쿠라 시대
- 개요
- 목조 채색. 높이100cm 전후.
의술과 치유의 부처님인 약사여래의 협사 십이신장상입니다. 이 동상들은 머리에 십이지 동물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과장된 자유로운 모습의 표현은 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특징이며 그 대표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금당에는 자(子 쥐), 축(丑 소), 오(午 말), 신(申 원숭이), 술(戌 개), 해(亥 돼지)신을 안치하고 있습니다.
보물전에는 인(寅 호랑이), 묘(卯 토끼), 진(辰 용), 사(巳 뱀), 미(未 양), 유(酉 닭)신을 안치하고 있습니다.
참배 / 교통
참배 시간 | 4월~11월/8:30am-5:00pm 12월~3월/9:00am-4:00pm ※보물전에는 9:00am-4:30pm 12월~3월/9:30am-3:30pm |
---|---|
배관 요금 | 배관료 어른 (중학생 이상) 600엔 / 초등학생400엔 |
주소 | 나라현 우다시 무로78 |
교통 | 긴테쓰 무로구치오노역에서 버스 「무로지」하차 |